전체메뉴
바카라 필승법
바카라 필승법
바카라 필승법

바카라 필승법의 혁신과 발전을 선도하여
국가경제발전에 공헌한다.

연구원 동정

새 정부 바카라 필승법산업 활력 촉진 동력 : 규제 개혁 대전환 세미나
새 정부 바카라 필승법 활력 촉진 동력 : 규제 개혁 대전환 세미나

바카라 필승법 규제 현황과 경쟁력 회복을 위한 합리화 방향

규제의 다운사이징, 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생산규제 합리화

건설 활력 제고를 위한 산업환경 재설계

주요 발간물

건설분야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바카라 필승법 재탄생 전략

• 지속 가능한 바카라 필승법 발전을 위한 재탄생(Rebirth) 전략 제시
  -3대 대전환 전략 및 실행과제 
• 산업 중점가치 대전환- 바카라 필승법의 핵심 가치를 ‘사람’ 중심으로 재정립 
• 산업체계 대전환- 스마트 기술 및 디지털 혁신 도입 → 생산체계 효율화 
• 건설시장·상품 대전환

CERIK 시장전망

건설/부동산 시장, 건설경기실사지수를 정기적으로 제공합니다.

25년 09월 월간건설시장동향

(건설수주) 2025년 7월 건설수주는 18.9조원으로 공공과 민간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증가(전월 대비 –21.2%, 전년 동월 대비 +13.9%)

수주액 18.9조원은 예년 수준보다 2.6조원 정도 양호한 실적

공공수주는 예년보다 1.5조원 양호했는데, 토목과 비주택 건축이 부진하였지만 주택이 양호해 전년 동월 대비 30.6% 증가한 5.3조원 기록

민간수주의 경우도 토목과 비주택 건축이 부진하였지만, 재개발/재건축 수주가 양호해 전년 동월 대비 8.5% 증가한 13.6조원 기록

결국, 건설수주는 지난 4월부터 3개월 연속 감소세 마감

(건설기성)2025년 7월 건설기성액은 11.4조원(전월 대비 –17.7%, 전년 동월 대비 –13.7%)

공공기성 전년 동월 대비 7.8% 감소한 1.9조원, 민간기성 14.8% 감소한 9.5조원 기록

결국, 지난해 5월부터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

(각종 건설물가) 7월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건설 중간재 수입 물가가 횡보세를 보인 가운데, 건설 국내 출하 물가가 감소해 안정적인 모습

한국은행의 국내 공급물가지수 자료 분석 결과 중간재건설용(수입)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횡보세를 보인 가운데, 중간재건설용(국내) 물가가 0.1% 감소

생산자물가 상승률(0.5→0.5%), 건설공사비 지수 상승률(0.8→0.8%) 건설기성 디플레이터(0.4→0.6%) 지난 6월과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

(건설고용) 2025년 7월 건설업 취업자 수 192만명(전월 대비 -1.9%, 전년 동월 대비 –4.6%)

건설 취업자 수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지난해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해 15개월 연속 감소

민간 건축뿐만 아니라 공공 토목공사 물량 또한 부진한 데 따른 영향 때문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지난 6월과 달리 7월에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양호한 모습을 보였지만,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또한 1년 5개월 감소세 장기 부진을 지속

건설기성의 장기 침체는 진행 중인 공사 물량의 감소를 뜻하며, 이러한 영향으로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전반적으로 건설 관련 물가도 둔화됨

건설기성 기성의 장기 침체 상황,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7년 8월 이후 가장 오랜 기간 감소

2025년 08월 건설경기실사지수

◎ (실적지수) 2025년 8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68.2로 전월 대비 4.9p 하락
 ●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최근 4개월째 내림세 지속
 ● 공사기성지수(75.9, -9.5p)와 신규수주지수(63.6, -5.6p)가 전월 대비 큰 폭 하락
 ● 이어서 자재수급지수(88.5, -5.5p), 공사대수금지수(79.1, -4.7p), 수주잔고지수(67.7, -1.5p) 순으로 전월 대비 하락
 ●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주택(64.5, -10.1p)과 토목(68.7, -2.0p)이 하락, 비주택건축(64.6, +1.6p)은 상승
 ● 대기업지수(92.3, -0.6p), 중견기업지수(59.3, -7.4p), 중소기업지수(53.2, -6.6p) 모두 전월 대비 하락
 ● 서울지수(79.3, -7.8p)와 지방지수(55.1, -5.8p) 동반 하락
◎ (전망지수) 2025년 9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전망지수’는 65.5로 8월 ‘종합실적지수’보다 2.7p 낮은 수준
 ● 신규수주지수와 수주잔고지수 외 모든 세부지수가 8월 실적지수 대비 하락 전망
 ●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주택과 비주택건축이 상승, 토목은 하락 전망
 ●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 전망지수의 하락 폭이 컸으며, 중소기업 지수는 상승 전망
 ● 지역별로 서울은 하락, 지방은 상승 전망
◎ (경기진단) 8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 검토 결과 체감 건설경기 악화 지속
  ● 8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전월 대비 하락하며 4개월 연속 체감 건설경기 악화
  ● 종합실적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신규수주지수의 영향력은 58.7%로 전월 대비 4.9%p 상승했고, 공사대수금지수의 영향력이 2.6%로 전월 대비 3.1%p 하락하며 가장 큰 폭으로 감소
  ● 한편, 2025년 9월 종합전망지수는 8월 종합실적지수보다 2.7p 낮은 65.5

25년 08월 월간건설시장동향

(건설수주) 2025년 6월 건설수주는 22.4조원으로 공공과 민간 모두 부진(전월 대비 +52.1%, 전년 동월 대비 –15.9%)

수주액 22.4조원은 예년 수준보다 2.9조원 정도 부진한 금액임

공공수주는 예년에 비해 주택이 양호했지만, 나머지 토목과 비주택 건축이 부진하여 전년 동월 대비 19.4% 감소한 6.7조원 기록

민간수주의 경우 비주택 건축수주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지만, 나머지 토목과 주택이 부진한 모습을 보여 전년 동월 대비 14.3% 감소한 15.7조원을 기록

결국, 건설수주는 지난 4월부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

(건설기성)2025년 6월 건설기성액은 13.9조원(전월 대비 +21.3%, 전년 동월 대비 –11.9%)

공공이 전년 동월 대비 10.7% 감소, 민간도 전년 동월 대비 12.2% 감소해 부진

결국, 지난해 5월부터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

(각종 건설물가) 6월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건설 중간재 수입 물가가 감소하고, 건설 국내 출하 물가도 감소해 안정적인 모습

한국은행의 국내 공급물가지수 자료 분석 결과 중간재건설용(수입)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0.7% 감소한 가운데, 중간재건설용(국내) 물가가 0.4% 감소

생산자물가 상승률(0.3→0.5%), 건설공사비 지수 상승률(0.6→0.8%), 건설기성 디플레이터(0.4→0.4%) 지난 5월과 비슷하거나 소폭 증가

(건설고용) 2025년 6월 건설업 취업자 수 196만명(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4.7%)

건설 취업자 수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지난해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해 14개월 연속 감소

민간 건축뿐만 아니라 공공 토목공사 물량 또한 부진한 데 따른 영향 때문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지난 5월과 마찬가지로 6월에도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였으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 또한 1년 4개월 감소세 지속해 부진한 모습

건설기성의 장기 침체는 진행 중인 공사 물량의 감소를 뜻하며, 이러한 영향으로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전반적으로 건설 관련 물가도 둔화됨.

건설기성의 장기 침체 상황,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7년 8월 이후 가장 오랜 기간 감소

2025년 07월 건설경기실사지수

(실적지수) 2025년 7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73.1로 전월 대비 0.4p 하락

●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최근 3개월째 내림세 지속
● 수주잔고지수(69.2, -5.9p)와 자금조달지수(69.1, -5.2p)가 전월 대비 하락하여 60선대로 낮은 수준
● 공사기성지수(85.4, +8.3p), 자재수급지수(94.0, +3.3p), 공사대수금지수(83.8, +1.7p), 신규수주지수(69.2, +0.3p) 순으로 전월 대비 상승
●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주택(74.6, +8.9p)이 상승, 토목(70.7, -1.7p)과 비주택건축(63.0, -4.8p)은 하락
● 대기업지수(92.9, +0.6p)와 중견기업지수(66.7, +3.7p)는 상승하고 중소기업지수(59.8, -4.4p)는 하락
● 서울지수(87.1, -2.7p)와 지방지수(60.9, -4.4p) 동반 하락


(전망지수) 2025년 8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전망지수’는 65.7로 7월 ‘종합실적지수’보다 7.4p 낮은 수준

● 수주잔고지수 외 모든 세부지수가 7월 실적지수 대비 하락 전망
●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주택과 비주택건축 부문 하락 전망
●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 전망지수의 하락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중견기업, 중소기업지수도 모두 하락 전망
● 지역별로 서울과 지방 모두 하락 전망


(경기진단) 7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 검토 결과 체감 건설경기 부진 지속

● 7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하며 지수가 100 이하를 크게 밑도는 상황
● 종합실적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신규수주지수의 영향력은 53.8%로 전월 대비 5.2%p 낮아졌고, 두 번째로 영향력이 큰 자금조달지수의 영향력이 16.5%로 전월 대비 3.0%p 상승
● 한편, 2025년 8월 종합전망지수는 7월 종합실적지수보다 7.4p 낮은 65.7

25년 07월 월간건설시장동향

(건설수주) 2025년 5월 건설수주는 13.6조원으로 공공과 민간 모두 부진(전월 대비 –6.5%, 전년 동월 대비 –6.8%)

수주액 13.6조원은 5월 실적으로는 6년래 최저치로 예년 수준보다 5.3조원 정도 부진한 금액임.

공공수주는 예년에 비해서 주택이 양호했지만, 나머지 토목과 비주택 건축이 부진하여 전년 동월 대비 13.9% 감소한 3.2조원 기록

민간수주도 공공과 마찬가지로 주택이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지만, 나머지 토목과 비주택 건축이 부진한 모습을 보여 전년 동월 대비 4.4% 감소한 10.4조원을 기록

결국 건설수주는 4월에 전년 동월 대비 10.1% 감소하고 5월에도 6.8% 감소해 2개월 연속 감소

(건설기성)2025년 5월 건설기성액은 11.3조원(전월 대비 –4.3%, 전년 동월 대비 –20.5%)

공공이 전년 동월 대비 6.2% 감소, 민간도 전년 동월 대비 23.2% 감소해 부진

결국, 지난해 5월부터 13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

(각종 건설물가) 5월 건설 관련 물가의 경우 건설 중간재 수입 물가가 2%대로 안정화되고, 건설 국내 출하 물가도 감소해 전반적으로 지난 4월보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된 모습을 보임.

한국은행의 국내 공급물가지수 자료 분석 결과 중간재건설용(수입)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0.4% 감소 가운데, 중간재건설용(국내) 물가가 0.3% 감소

생산자물가 상승률(0.9→0.3%), 건설공사비 지수 상승률(0.8→0.6%), 건설기성 디플레이터(0.5→0.4%) 지난 4월보다 물가 상승률이 완화되면서 안정적인 모습을 보임.

(건설고용) 2025년 5월 건설업 취업자 수 196만명(전월 대비 +0.8%, 전년 동월 대비 –5.1%) 기록

건설 취업자수의 경우 계절적인 영향으로 지난 4월보다는 증가하였지만,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지난해 5월부터 감소세를 지속해 13개월 연속 감소

민간 건축공사물량뿐만 아니라 공공 토목공사 물량 또한 부진한 데 따른 결과로 판단

(국내 건설시장 상황 진단) 지난 4월과 마찬가지로 5월에도 선행지표인 건설수주가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였으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 또한 1년 이상 위축되는 모습을 보여 부진을 지속

건설기성의 장기 침체는 전반적으로 진행 중인 공사 물량의 감소를 뜻하며, 이러한 영향으로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전반적으로 건설 수요 위축으로 건설공사 관련 물가도 둔화된 것으로 나타남.

건설기성의 장기 침체 상황은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7년 8월 이후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

2025년 06월 건설경기실사지수

(실적지수) 2025년 6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73.5로 전월 대비 0.8p 하락

자금조달지수(74.3, -4.3p), 자재수급지수(90.7, -1.8p), 신규수주지수(68.9, -0.6p) 순으로 하락

공사대수금지수(82.1, +4.2p), 수주잔고지수(75.1, +2.9p), 공사기성지수(77.1, +1.5p) 순으로 상승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토목(72.4, +5.1p)과 비주택건축(67.8, +1.7p)은 상승, 주택(65.7, -8.9p)은 하락

대기업지수(92.3, -7.7p)는 하락하고 중소기업지수(65.5, +5.1p)는 상승

서울지수(89.8, -0.3p)는 소폭 하락하고 지방지수(65.3, +1.5p)는 상승

(전망지수) 2025년 7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전망지수’는 70.4로 6월 ‘종합실적지수’보다 3.1p 낮은 수준

신규수주지수와 공사기성지수 외 모든 세부지수가 6월 실적지수 대비 하락 전망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토목, 주택, 비주택건축 부문 모두 고른 개선 전망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지수 모두 하락 전망

지역별로 서울은 상승, 지방은 하락 전망

(경기진단) 6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 검토 결과 체감 건설경기 부진 지속

6월 건설경기실사 종합실적지수는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하며 지수가 100 이하를 크게 밑도는 상황

종합실적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신규수주지수의 영향력은 59.0%로 전월 대비 0.1%p 높았고, 두 번째로 영향력이 큰 자금조달지수의 영향력이 13.5%로 전월 대비 0.8%p 상승

한편, 2025년 7월 종합전망지수는 6월 종합실적지수보다 3.1p 낮은 70.4

chevron_left
chevron_right